“제일 큰 것은 분배와 양극화의 문제입니다. 영국과 미국에서 시작된 자유주의식 자본주의하에서는 양극화를 피할 수가 없습니다. 경제적인 소득의 양극화는 문화의 양극화를 불러오고, 결국 사회 전체가 내부에서 파열하게 됩니다. 양극화로 인해 공동체 의식이 해체되면서 민주주의의 위기도 불러오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언론을 믿지 않는 것이 대표적 현상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만 해도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CNN과 같은 정통 미디어를 인정하지 않고 트위터에만 몰두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살다봄 긴긴 세월 영원한 고고함은 없다고 그건 지가 바라는 고상한 이미지일 뿐이지. 잠시잠깐 수치심이 중요한것. 지가 갈길과, 지가 마주할 인연은 따로있는데. 어설픈 허수아비를 앞에서, 열심히 준비한걸 읇는다면. 또 이후 면접이 긍정적이라 한번더 인연없는 상대와 마주할 기회를 얻는다. 이건 삶에 두번다시없는 재앙. 우린 살면서 우린 열심히 할 이유와, 부족할 이유와, 실패할 이유와, 거절할 이유가 있다는건. '인연'의 맥락이랑 맞닿아있는 것.
반드시 끊어져야할 관계는 내 부족함의 용기에서 비롯되고, 연결해야할 관계는 내 의지의 용기와 성실함에서 비롯되고. 삶이 마냥 순탄한 사람들은 인연의 맥락은 무시한 채 그저 열심히 성실함 끝에 길이 보인다 믿는 자들. 때문에 안타깝지만 사람의 인생은 저마다 다 다르다고. 각자의 길에서 본인이 가고싶은길을 가면 그만.
시험과 공연, 고객과의 만남, 발표와 강의는 흔치 않은 기회 이겨놓고 싸우자. 답을 알고 있지만 준비하지 않는 것이 문제, 책임은 거기에 있다. 철저한 준비와 연습, 모든 가능성에 대한 대비.
4 comments
김미경샘 강의들으면서 얼마나 많이 공감한지 모르겠어요! 목소리에 열정이불끈불끈쏟네요
“제일 큰 것은 분배와 양극화의 문제입니다. 영국과 미국에서 시작된 자유주의식 자본주의하에서는 양극화를 피할 수가 없습니다. 경제적인 소득의 양극화는 문화의 양극화를 불러오고, 결국 사회 전체가 내부에서 파열하게 됩니다. 양극화로 인해 공동체 의식이 해체되면서 민주주의의 위기도 불러오고 있습니다. 사람들이 언론을 믿지 않는 것이 대표적 현상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만 해도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CNN과 같은 정통 미디어를 인정하지 않고 트위터에만 몰두하고 있습니다.
원문보기:
http://news.donga.com/3/all/20170703/85166322/1#csidx711f613a612000caf6bc67a03202389
져야할 자리는 지는게 맞음. 인생에 세번의 후회가
첫째는 워홀준비직전 면접본 '공장'
둘째는 윤모강사의 지인 일자리에 얽힌것.
셋째는 핸드폰 명의를 캐묻고 본인이 중견기업급이라 우기는 김제이 어학원에 알바 면접ㅋ
사람은 살다봄 긴긴 세월 영원한 고고함은 없다고 그건 지가 바라는 고상한 이미지일 뿐이지. 잠시잠깐 수치심이 중요한것. 지가 갈길과, 지가 마주할 인연은 따로있는데. 어설픈 허수아비를 앞에서, 열심히 준비한걸 읇는다면. 또 이후 면접이 긍정적이라 한번더 인연없는 상대와 마주할 기회를 얻는다. 이건 삶에 두번다시없는 재앙. 우린 살면서 우린 열심히 할 이유와, 부족할 이유와, 실패할 이유와, 거절할 이유가 있다는건. '인연'의 맥락이랑 맞닿아있는 것.
반드시 끊어져야할 관계는 내 부족함의 용기에서 비롯되고, 연결해야할 관계는 내 의지의 용기와 성실함에서 비롯되고. 삶이 마냥 순탄한 사람들은 인연의 맥락은 무시한 채 그저 열심히 성실함 끝에 길이 보인다 믿는 자들. 때문에 안타깝지만 사람의 인생은 저마다 다 다르다고. 각자의 길에서 본인이 가고싶은길을 가면 그만.
시험과 공연, 고객과의 만남, 발표와 강의는 흔치 않은 기회
이겨놓고 싸우자. 답을 알고 있지만 준비하지 않는 것이 문제, 책임은 거기에 있다.
철저한 준비와 연습, 모든 가능성에 대한 대비.